한국문화 및 사회문제 심리학회
학회논문
논문투고 요령
「한국심리학회지: 문화및사회문제」 투고논문 작성 안내
(1) 학회지 게재논문의 성격
본 지에서는 심리학의 발전에 기여하는 창의적인 이론연구, 논쟁을 정리하는 개관연구, 측정 및 연구방법론 논문, 또는 실증연구를 게재한다. 실증연구의 경우에는 심리학의 여러 하위분야의 학자들에게 공통적인 관심이 될 수 있는 실증연구들로 게재를 한정한다. 아울러 다양한 분과학회에 걸쳐 공통 관심사가 되는 주제(예, 학회가 개최하는 학술심포지움의 주제)를 가지고 특집을 꾸밀 수도 있다. 끝으로 해당호에서 논쟁적인(controversial) 글에 대하여 편집위원회 주관하에 논평을 받고 그에 대한 저자의 반론을 싣는 것을 시도할 수 있다.
(2) 논문작성의 언어
한글 논문을 원칙으로 하나 영어 논문도 게재 가능하다.
(3) 논문작성 소프트웨어는 반드시 HWP를 사용한다.
논문작성의 상세 양식은 다음 쪽에 있는 “논문작성 양식”에 따라 작성하며 그 외의 세부사항은 2001년 10월에 한국심리학회에서 제정한 “학술논문 작성 및 출판지침”(시그마프레스 출판)을 따른다.
(4) 원고의 표지
원고의 표지에는 논문제목, 저자, 주소 및 연락처(e-mail)를 표기해야 하며 표지를 제외한 모든 면에는 1부터 연속적 숫자를 부여하여 쪽 번호를 붙인다.
(5) 초록
모든 연구논문은 150단어(600자) 안팎의 본문앞 초록과 참고문헌뒤 초록, 5개 이내의 주요어를 포함해야 한다. 본문앞 초록은 본문과 같은 언어를, 참고문헌뒤 초록은 본문과 다른 언어를 사용한다. 예로서, 본문이 영어논문이면 참고문헌뒤 초록은 한글로 한다. 영문초록은 미국심리학회의 논문 데이터베이스인 ‘PsycINFO’에 실리므로 미국심리학회(APA) 출판 규정에 맞게(현재 5판) 쓰여야 한다.
(6) 참고문헌
참고문헌 뒤에 오는 초록에는 제목, 저자명, 소속(소속학교 및 학과명)을 반드시 기재한다 (위치는 초록 및 본문/참고문헌/초록/부록).
(7) 논문의 길이
논문의 길이는 15-20페이지 이내를 권장한다.
(8) 글씨체
본문은 신명조체 10호 크기로 하고, 장평 95, 자간 -10, 줄간격 160으로 하여 작성한다. 본 학회지의 한 페이지에는 한글로 약 1,800자, 영문으로 약 3,700자(약 500단어)가 들어감을 고려하여 원고를 작성한다.
(9) 그림이나 표가 있는 경우
HWP file에서 본문과 함께 바로 열릴 수 있는 형식으로 작성한다. 그림이나 표는 각 페이지의 상단 또는 하단에 밀착한다. 그림은 흑백으로 작성하여 명료하게 인쇄될 수 있어야 하며, 흐린 선, 가는 점선, 계조흑 백(예를 들어, 회색), 색채 등은 인쇄상의 문제가 있으니 피하기로 한다.
(10) 문의사항 접수
논문 양식과 관련한 질문이 있을 경우에는 편집위원회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